안녕하세요, 산업/환경 데이터 수집분석 전문기업, ㈜보티 입니다.
최근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하여 수산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수산물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먹거리 중 하나로 생선부터 각종 해초, 조개류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하루에 수많은 종류의 수산식품을 섭취합니다. 특히 최근 들어 생선에 오메가3와 각종 비타민 등 우리 몸에 이로운 성분이 많다는 연구결과들이 등장하면 수산식품 소비량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이처럼 우리 식탁에서 수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수산업의 생산률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바다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양식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스마트양식이란?
스마트 양식이란 양식수산물의 효율적․친환경적 생산을 위한 최적 생육 알고리즘 구축과 양식수산물의 ‘생산-가공-판매’ 산업 시스템을 빅데이터, 인공지능(AI)와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해 자동화․지능화한 기술입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스마트 양식 사업의 핵심 기술은 △어류 먹이행동 데이터 기반 사료 공급 △수중영상을 통한 어류 크기·무게 측정 △용존산소 자동 공급·조절 △수산재해 대비 양식장 관리·운용 기술 등으로 꼽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측 설명에 따르면 양식장에 설치된 수온 및 용존 산소량, pH센서 등을 통해 AI가 실시간으로 양식장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환경을 유지시키고 사육환경에 맞춰 적정량의 사료를 공급해 기르는 어류들의 건강 및 품질을 최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스마트양식 기술에 대해 ‘국내 스마트양식 기술 동향’ 보고서에서 “최근 급격하게 성장한 ICT 기술은 폐쇄형 육상 양식장에서 요구하는 양식환경 및 양식어류의 상태에 대한 정밀한 측정과 관리를 지원해 안정적인 양식을 가능하게 했다”며 “양식장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은 양식환경에 대한 분석과 예측에 활용돼 어류에 대한 안정적인 생산뿐만 아니라, 시장의 수요에 맞춘 계획 생산까지 가능하게 한다”고 평가했습니다.
지속가능한 어업의 해답, 스마트양식
이 같은 스마트 양식 기술이 수산 업계에서 최근 떠오르고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급증하고 있는 수산물 소비량을 충족하고 위함이며, 두 번째는 폭발적 인구 증가로 인해 고갈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바다의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보존에 대한 해결책 마련 때문입니다.
실제로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수산물 소비량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세계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2020 세계 수산 및 양식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수산물 소비는 1961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3.1%의 증가율로 성장해 인구 증가율인 1.6%를 넘어섰습니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이 2001년 기준 42.2kg에서 2017년 65.9kg로 16년 동안 약 56%나 증가했습니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수산물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해양 생태계 또한 위협받고 있는 상황인데요, 국제비영리기구 해양관리협의회(MSC)에 따르면 전 세계 어업 활동 중 33.1%가 지속가능한 수준을 초과했을 뿐만 아니라 1970년부터 2012년 사이 수산 자원량은 절반에 가까운 49%가 감소했습니다.
스마트양식 빅데이터 센터 사업
해양수산부는 8월 14일에 부산시를 스마트 양식 빅데이터 센터 사업자로 최종 선정하여 미래 차세대 양식 기술을 개발한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양식 빅데이터 센터는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등 양식시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최적의 사육조건을 도출하고 양식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올해 말부터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를 순차적으로 준공할 예정으로 2025년까지 총사업비 170억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보티의 IoT 기술, 부산을 만나다
보티의 IoT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로거 제품들이 스마트양식 빅데이터 센터 사업의 최종 선정지인 부산에서 9/6~9/8 3일간 부산 벡스코 K-ICT Week 전시회에 참가합니다. 스마트양식에 다양하게 쓰일 수 있는 데이터수집/변환/제어 장치들을 선보이고 다양한 센서 및 장비들과 연결해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모습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1.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보티의 ONE RTU는 다양한 센서들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User PC에 설치된 웹 대시보드를 통해 센서로 감지된 변화 현황과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비의 가동/비가동, 운영상태, 가동 시작/종료시간 등을 수시로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2. 통계분석 리포트 제공
계측된 데이터는 통합적으로 관리되어야 유의미합니다. ONE-RTU는 원거리의 자동화 설비 데이터를 웹서버로 실시간 업로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장소 상관 없이 기본 제공되는 ONE-LAB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통계분석 리포트를 받아보게 할 수 있습니다.
3. 간편한 설치
ONE RTU는 채널 별로 독립 제어가 가능하고, 설정된 Recipe에 따라 자동 동작됨은 물론, 전원선 동시공급으로 배선이 간단해 설치가 간단합니다. 또한 전용 분석 툴을 제공해 장기간 Log 기록과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어 통계 자료로 활용하거나 업무 효율을 높이는데도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티는 자체 상품을 개발하는 기업부설 연구소를 보유한 설비 운영 모니터링 토탈솔루션 업체입니다.
데이터 수집 센서에서부터 I/O 입출력, 모션제어, PLC통신, 소프트웨어까지 스마트팩토리/스마트팜/스마트빌딩/연구소/장비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체 프로세스를 지원합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보티로 언제든 문의주세요!
'보티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티이야기] 부산ㆍ경남지역 제조업체의 관심과 성원을 받은 보티 2023 K-ICT 부산 전시회 참가 후기 (0) | 2023.09.11 |
---|---|
[보티이야기] 보티, 부산에 가다! 2023 K-ICT Week 부산 전시회 참가 (0) | 2023.09.01 |
[보티이야기]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결합, AIoT 로 바뀌는 세상 (0) | 2023.08.21 |
[보티이야기] 여름철 급식 안전, IoT기술로 해결 (0) | 2023.08.11 |
[보티이야기] 백신 냉장고 온습도를 책임지는 ONE-RTU (0) | 2023.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