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산업/환경 데이터 수집분석 전문기업, (주)보티 입니다.
오늘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스마트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전 블로그를 통해 스마트팜에 대해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스마트팜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에 초점을 맞춰 설명해드릴게요.
이전 스마트팜 소개글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votyinc.tistory.com/14
[보티이야기] ONE-RTU 로 농사도 디지털하게, 스마트팜 이야기
안녕하세요? 산업/환경 데이터 수집분석 전문기업, 보티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2년차에 접어들면서 세계 곳곳에서 식자재 가격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최근 3월
votyinc.tistory.com
스마트팜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
국내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ICT 접목을 통한 자동화', '생육을 위한 적정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선진국에서는 '자동화'와 '생육'을 넘어 '생산에 필요한 인력의 최적화'와 '농산물의 양과 질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팜이 기존 농업의 생산량과 품질, 가격에 대한 안정적 관리뿐만 아니라 물적, 인적 투입으로 최소화하여 농업 경영 최적화를 이루는 솔루션이기 때문에 우리 농가에 적극적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지금 스마트팜을 도입해야 할까?
(1) 농촌 노동력의 절벽 현상
우리나라 농촌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문제는 갈수로 심화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농촌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역대 가장 높은 46.8%를 기록했는데 여기에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1일 기준 전국의 농가는 103만1천 가구, 농가 인구는 221만5천 명으로 이것은 전년 대비 농가 4천 가구, 농가 인구 9만9천명이 줄어든 수치라고 합니다.
(2) 심화된 이상기온 문제
여름철 극한 더위와 가뭄, 풍수해 등 농작물을 위협하는 기후 변화는 농업인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데이터 관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3) 새로운 농업 성장 동력의 발굴이 필요
1990년대까지는 우리나라 농업은 노동, 토지 집약적인 산업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좁은 토지에 농업인별 부가가치가 전 세계 43위로 현재로서는 더 이상 농업 성장 동력을 찾을 수 없으며, 기존의 농업을 보다 가치 지향적으로 체계화하고, 작물별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고 생육시기별로 정보를 통해 농업생산, 유통, 품질관리 최적화가 필요한 때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현재 스마트팜은 어디까지 왔을까?
현재 대부분의 농가에서 스마트팜에 대한 이해부족, 고령화, 작은 토지의 분합 곤란 등의 이유로 규모화와 표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입니다. 이 마저도 자발적인 도입보다는 지자체 공무원이나 주변 농가의 추천으로 정부지원사업으로 스마트팜을 인지하고 도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략적인 계획하에서 실행하기 어렵습니다.
현재의 스마트팜 환경은 농업생산과 관련된 인프라의 통합 관리, 개별 농가의 기술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스마트팜을 위한 제어 솔루션,
ONE-RTU
보티의 데이터로거 ONE-RTU는 스마트팜에 들어가는 핵심 장비 중 하나입니다. 스마트팜에는 보티의 ONE 시리즈 중 하나인 ONE-SEN이라는 센서가 들어가게 되는데요, 온도와 습도는 물론 CO2, 가스 등의 탐지도 가능해 생육환경 조절과 화재예방에 탁월한 기능을 하게 될 것입니다.
1.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ONE RTU는 농가 비닐하우스 안에 설치되어 User PC에 설치된 웹 대시보드를 통해 센서로 감지된 환경 변화 현황 뿐 만 아니라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비의 가동/비가동, 운영상태(가공, 정지, 비상발생 등), 가동 시작/종료시간 등을 수시로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2. 통계분석 리포트 제공
계측된 데이터는 통합적으로 관리되어야 유의미합니다. ONE-RTU는 원거리의 자동화 설비 데이터를 웹서버로 실시간 업로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장소 상관 없이 기본 제공되는 ONE-LAB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통계분석 리포트를 받아보게 할 수 있습니다.
3. 간편한 설치
ONE RTU는 채널 별로 독립 제어가 가능하고, 설정된 Recipe에 따라 자동 동작됨은 물론, 전원선 동시공급으로 배선이 간단해 설치가 간단합니다. 또한 전용 분석 툴을 제공해 장기간 Log 기록과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어 통계 자료로 활용하거나 업무 효율을 높이는데도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간편한 설치프로세스 덕분에 소규모 농장에서도 스마트 구축이 한 단계 더 쉬워집니다.
지금까지 스마트팜을 도입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렸는데요, 위의 내용은 충북일보 <스마트팜을 도입해야하는 이유> 2023.06.13 기사 내용을 발췌해 작성하였습니다.
㈜보티는 자체 상품을 개발하는 기업부설 연구소를 보유한 설비 운영 모니터링 토탈솔루션 업체입니다.
데이터 수집 센서에서부터 I/O 입출력, 모션제어, PLC통신, 소프트웨어까지 스마트팩토리/스마트팜/스마트빌딩/연구소/장비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체 프로세스를 지원합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보티로 언제든 문의주세요!
'보티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티이야기] 디지털 전환을 실현하는 핵심 기술, 디지털트윈 (0) | 2023.07.14 |
---|---|
[보티이야기] 2023 AIoT 국제전시회 참가 소식 안내 (0) | 2023.07.14 |
[보티이야기] 보티 홈페이지 리뉴얼 오픈 (0) | 2023.07.14 |
[보티이야기]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입점! (0) | 2023.07.14 |
[보티이야기] ONE-RTU 로 농사도 디지털하게, 스마트팜 이야기 (0) | 2023.07.14 |